백낙청TV

[백낙청 공부길] 한반도식 통일의 두가지 키워드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5-2편. 남북연합과 시민참여형 통일의 가능성을 논한다.

[백낙청 공부길] 헌법이 제대로 지켜지는 나라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5-1편. 남북관계 전문가 서울대 이정철 교수, 백낙청 교수를 만나 ‘한반도식 나라만들기’를 묻다.

[백낙청 공부길] 이남주 통합본

성공회대 교수이자『창작과비평』 주간, 이남주 편 몰아보기. ‘근대의 이중과제’론 공부에 유용하다.  

[백낙청 공부길] 한반도식 나라만들기는 개벽과 함께 시작된다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4-3편. 근대의 이중과제와 분단체제 극복, 한반도식 나라만들기를 위해 ‘개벽’에서 길을 찾는다.

[백낙청 공부길] 한중일 세 나라와 서구 유럽의 이중과제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4-2편. 서구 근대자본주의를 그대로 따라야 할지 고민한 동아시아, 그리고 서구 유럽의 이중과제.

[백낙청 공부길] 근대적응과 근대극복의 이중과제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4-1편. 성공회대 이남주 교수, 백낙청 교수를 만나 ‘근대의 이중과제’를 묻다.

[백낙청 공부길] 정소영 통합본

이번이 아니면 못 물어볼 것 같아 작심했다는 15년차 편집자 정소영 편 몰아보기.

[백낙청 공부길] 성차별과 혐오정치를 뚫고 나아가야 할 길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3-3편. 성차별과 여성혐오를 뚫고 싸워나가야 하는 2030 여성들의 질문에 답한다.

[백낙청 공부길] 고전작품 읽기의 현재적 의의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3-2편. 세계고전문학 읽기가 폄하되고 있는 요즘, 명작을 꼭 읽어야 할지 ‘이이제이(以夷制夷)’의 관점으로 이야기 나눈다.

[백낙청 공부길] 우리나라가 ‘결손국가’라고요?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3-1편. 주변의 여성과 평범한 시민들을 대신해 창비 정소영 편집자가 질문자로 나선다. 세월호참사 이후에 쓰인 책의 9장 ‘큰 적공, 큰 전환을 위하여: 2013년체제론 이후’에 대한 공부.

[백낙청 공부길] 천현우 통합본

쇳밥 먹으며 글 쓰는 청년작가 천현우 편 몰아보기.

[백낙청 공부길] 우리의 일상화된 어둠과 괴로움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나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2-3편. “먹고살기 바빠 취미도 못 가진 사람들은 어떤 마음공부를 해야 할까요?” 천현우의 질문에 답하며 한반도적 시각으로 우리의 삶과 실천에 대해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