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TV
[백낙청 초대석] 『연애하는 여인들』과 하이데거의 기술철학
백낙청 초대석 1-2편. 로런스 소설에서 드러나는 기술의 본질에 대한 사유를 하이데거 철학, 나아가 개벽사상과 연결해 깊이있게 논한다.
[백낙청 초대석] 왜 로런스가 서양의 개벽사상가인가?
백낙청 초대석 1-1편. D. H. 로런스 연구자인 강미숙, 박여선 교수와 다산을 연구한 한국철학자 백민정 교수를 초대해 서양정신사의 극복에 도전한 로런스의 개벽사상가적 면모를 논한다.
[백낙청 인터뷰] 시민방송 RTV, 시민종편으로 재도약하려면?
시청자 참여형 방송 RTV 개국 20주년 기념 특별 대담(RTV 특집 프로그램으로 2022.9.10 방영).
[백낙청 공부길] 문학을 읽는 방법과 문학 편집자의 소양
‘클럽 창작과비평’ 회원과 함께하는 공부길 3편. 편집자를 꿈꾸는 클러버 구민지가 난해한 현대시를 이해할 길과 편집자의 역할에 대해 질문한다.
[백낙청 공부길] 우리 시대, 문학의 존재 이유와 역할에 대하여
‘클럽 창작과비평’ 회원과 함께하는 공부길 2편. 제20회 대산대학문학상 평론 부문을 수상한 클러버 하혁진, ‘근대문학의 종언’과 촛불혁명을 묻다.
[백낙청 공부길] ‘갓생’과 ‘번아웃’ 사이, 20대 청년의 삶의 길은?
공부길 일곱번째 기획, ‘클럽 창작과비평’ 회원과의 만남 1편. 20대 클러버 김예진이 자본주의사회 청년들의 삶의 길을 근대의 이중과제와 더불어 질문한다.
D. H. 로런스 국제대회에 다녀오다
서양의 개벽사상가 로런스가 머물던 미국 뉴멕시코 타오스의 풍경과 국제대회 현장, 흥미로운 인터뷰를 담았다.
[백낙청 인터뷰] 분단체제가 허용하지 않은 천안함 사건의 진실
이승헌 교수 인터뷰 2편. 『창작과비평』이 겪어온 고난과 천안함사건의 진실,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까지 폭넓은 이야기가 펼쳐진다.
[백낙청 인터뷰] 유신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한 지식인의 삶
미국 버지니아대학 물리학과 이승헌 교수, 1955년에서 70년대까지 백낙청 교수의 삶의 행적을 묻다.
[백낙청 공부길] 이보현 통합본
『도올만화논어』를 그린 만화가이자 유튜브 <보현TV>을 운영하는 이보현 작가 편 몰아보기. ‘적당한 성장’론을 공부한다.
[백낙청 공부길] 노자와 하이데거의 사상이 집약된 개벽사상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6-3편. 기술의 참뜻을 알고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개벽사상.
[백낙청 공부길] 기후위기와 자본주의에 대응하는 지혜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공부길 6-2편. 기후위기에서 지구를 구하고 자본주의를 극복할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