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TV
[백낙청 초대석 007] 한국근현대사상의 출발이자 뿌리인 동학
정지창 교수와 김용휘 교수와 함께 우리 시대에 동학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깊고 생생한 논의를 펼친다.
[백낙청 초대석 006] 민중의 사상적·정서적 갈망을 충족해준 동학 최제우와 원불교 박중빈
『창작과비평』 2021년 가을호에 실린 도올 김용옥 박맹수 백낙청 특별좌담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총 4편의 영상을 2회로 묶어 소개한다.
[백낙청 초대석 005] 수운 최제우의 평등사상과 동학농민혁명
『창작과비평』 2021년 가을호에 실린 도올 김용옥 박맹수 백낙청 특별좌담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총 4편의 영상을 2회로 묶어 소개한다.
[백낙청 공부길 076] 미국역사에 대한 너새니얼 호손의 고민
쉽지만은 않은 호손의 『주홍글자』, 현대문명과 연결해 어떻게 읽을 수 있을까.
[백낙청 공부길 075] 청교도사회 비판과 미국 정신사의 탐구
본능적인 삶을 억누르고 정신적인 것의 승리만을 고집할 수 있는가. 『주홍글자』에 대한 풍성하고 깊이있는 논의.
[백낙청 공부길 074] 로런스가 『주홍글자』에서 미국작가들의 거짓말을 본 까닭
너새니얼 호손의 『주홍글자』를 중심으로, 영문학자 신현욱 교수와 함께 영미문학 중에서도 미국문학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백낙청 공부길 073] 기후위기 시대에 재소환되고 있는 콘래드 소설
미국의 금융자본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제국주의의 착취적 본질을 보여준 『노스트로모』에 대해서 논한다.
[백낙청 공부길 072] 여러 해석이 충돌하는 콘래드의 소설에 대하여
살아있는 자들의 세계가 그 자체로 진기하고 신비로움이 가득한 현실세계라고 본 조셉 콘래드의 작품세계를 논한다.
[백낙청 공부길 071] 주체적 인문학을 위한 서양명작 읽기
영문학자 유희석 교수와 함께 제국주의의 어둠을 응시한 조셉 콘래드의 『어둠의 속』에 대해 논한다.
[백낙청 공부길 070] 개벽사상의 면모를 가진 19세기 작가들
에밀리 브론티, 토마스 하디, 월트 휘트먼. D. H. 로런스와 마찬가지로 개벽적 면모를 지닌 작가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백낙청 공부길 069] 농촌사회 붕괴와 노동자의 삶을 그린 토마스 하디
남다른 포부를 지니고 영국 농촌의 자연과 삶을 그린 토마스 하디의 소설『테스』에 대한 논의를 이어간다.
[백낙청 공부길 068] 셰익스피어 못지 않은 현대비극 『테스』
김명환 교수와 함께 백낙청 평론 「소설『테스』의 현재성」을 살피는 가운데 『테스』의 빼어난 문학성이 생생히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