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TV
[백낙청 공부길 141]
인공지능기술과 결합한 여성혐오의 새로운 현상, 페미니즘 백래시와 딥페이크 성범죄에 대처하는 자세 ― 이선엽 한지영 청년공부길 7편
[백낙청 공부길 140]
지혜로운 사람을 만나는 기쁨, 성차별을 포함한 모든 차별에 반대해도 지우智愚의 차이는 남겨야 한다 ― 이선엽 한지영 청년공부길 6편
[백낙청 공부길 139]
‘남자 여자 반반’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원불교 평등사상, 남녀권리동일·자력양성·지자본위 ― 이선엽 한지영 청년공부길 5편
[백낙청 공부길 138]
전통적 가부장제 대신에 여성이 경제권과 친권을 모두 가지는 ‘가모장제’ 제안한 서양의 개벽사상가 D. H. 로런스 ― 이선엽 한지영 청년공부길 4편
[백낙청 공부길 137]
세상을 이롭게 하는 방편으로 남녀가 공유하는 보편적 앎의 영역 개척해온 동아시아 사유 ― 이선엽 한지영 청년공부길 3편
[백낙청 공부길 136]
한국사회 여성혐오, 페미니즘 백래시와 지난 대선에서 2030 여성들이 보여준 변혁적 중도주의 ― 이선엽 한지영 청년공부길 2편
[백낙청 공부길 135]
페미니즘과 인간해방의 논리 ― 우리 고유의 성평등운동과 사상에 소홀한 한국 페미니즘. 이선엽 한지영 청년공부길 1편
[백낙청 공부길 134]
언어, 국가, 문명이라는 태어날 때부터 주어진 공동영역에 보은하는 마음이 세상을 움직인다.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구본슬 하빛 청년공부길 7편
[백낙청 인터뷰 017]
우리 민족의 안위뿐 아니라 전 인류의 운명과 직결된 한반도 평화체제 ― 한반도평화포럼 15주년 기념사
[백낙청 공부길 133]
한글의 창제정신에 충실하고 그 표현력을 십분 활용한 창비 외래어표기법, 푸켓이 푸껫이 된 이유는? 구본슬 하빛 청년공부길 6편
[백낙청 공부길 132]
세종대왕이 창제하고 대중이 선택한 디지털 시대의 지혜로운 한글생활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구본슬 하빛 창비 출판사 편집자 청년공부길 5편
[백낙청 인터뷰 016]
제대로 꿈꾸며 새로운 세상 만들어가는 공부가 필요한 때― 리영희 『전환시대의 논리』 발간 50돌 기념 토론회 인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