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저서

백년의 변혁

3.1에서 촛불까지
백낙청 외 지음 / 백영서 엮음
출간일

2019-12-15

출판사

창비

책소개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은 2019년, 3·1에서 촛불혁명으로 이어지는 긴 시간대를 꿰뚫는 구조적이고 역사적인 안목을 제시하려는 노력을 담은 책이다. 일찍이 ‘촛불혁명’론을 제기한 담론의 당사자로서 그 나름으로 3·1을 새롭게 조명한 계간 『창작과비평』의 2019년 봄호 특집, 여름호의 3·1 관련 글들을 바탕으로 논의를 더 실차게 갈무리한다. 역사학을 비롯해 한문학, 정치학, 사회학, 인류학 등 국내외에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분과학문 횡단적 작업의 결실을 맺었다. 백낙청은 총론에 가까운 「3·1과 한반도식 나라만들기」에서 3·1 자체보다 3·1이 꿈꾸었던 국가건설의 과제에 초점을 두어 성찰하면서, 한반도 근대의 나라만들기는 단계적으로 진행되어왔고 아직도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고 본다.

목차

― 책을 펴내며 | 백영서

― 서장 3·1과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 백낙청

1부 촛불의 눈으로 되돌아본 3·1
― 1장 3·1운동, 한국 근현대에서 다시 묻다 | 임형택
― 2장 독특한 식민지, 한국: 식민화는 가장 늦게, 봉기는 가장 먼저 | 브루스 커밍스
― 3장 시간(Kairos)과 기억(Memory): 건국 원년, 건국기념일, 연호 | 도진순
― 4장 연동하는 동아시아와 3·1운동: 계속 학습되는 혁명 | 백영서
― 5장 3·1운동과 국가문명의 ‘교(敎)’: 천도교(동학)를 중심으로 | 정혜정
― 6장 3·1운동, 촛불혁명 그리고 ‘진리사건’ | 이남주

2부 3·1 이후 누적되어온 운동과 사상
― 7장 3·1운동, 젠더, 평화 | 이지원
― 8장 4월혁명, 민주항쟁의 가능성과 현실성 | 홍석률
― 9장 5·18 정신의 보편화를 위하여 | 신기욱
― 10장 6월항쟁과 87년체제: 헌정체제의 관점에서 | 김종엽
― 11장 한반도 분단체제의 독특성과 6·15시대 | 유재건
― 12장 미완의, 혹은 진행 중인 혁명: 촛불 이후 한국사회와 새로운 공동성의 모색 | 정헌목

― 수록문 출처

 

본문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