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TV

[백낙청 초대석] 자본주의 현실의 고락을 헤쳐나가는 마음공부

백낙청·방길튼·허석의 원불교 좌담 2편. 자본주의 시대, 원망의 병에 든 사람들을 위한 원불교 공부법. 일원상의 진리부터 사은사상, 삼학·팔조까지 쉽고도 깊이있게!

[백낙청 초대석] 한국의 사상가 소태산 새로 알기

세번째 백낙청 초대석은 원불교 좌담으로 꾸린다. 물질의 노예생활 말고 주인 노릇을 하라고 이른 소태사 박중빈은 누구이며 그 사상의 현재성은?

[백낙청 인터뷰] 『창작과비평』 편집주간 및 편집부를 만나다

200호 발간을 기념해 『창작과비평』을 만드는 이들을 만나 나눈 유쾌하고도 흥미로운 이야기.

[백낙청 인터뷰] 『창작과비평』 200호 및 백낙청TV 1주년 기념 인터뷰

『창작과비평』의 창간부터 200호까지, 그리고 백낙청TV를 통해서도 계속될 백낙청 교수의 사상과 담론에 대해 듣는다.

[백낙청 초대석] 개벽사상과 자본주의 극복의 길

동학 초대석 마지막 4편. 자본주의 ‘무서운’ 줄 알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자본주의 극복의 길 찾으려면 수운·해월·소태산의 개벽사상을 배우는 마음공부가 꼭 필요하다.

[백낙청 초대석] 수운이 말한 ‘불연기연’의 참뜻은 무엇인가

김용휘·정지창·백낙청의 동학 좌담 3편. 1860년 수운 최제우가 만난, 서양의 인격신과는 다른 우리 민족의 하늘님과 불연기연(不然其然)의 참된 의미에 대하여.

[백낙청 초대석] 의암의 천도교는 동학사상을 얼마나 계승했을까

지난회에 이어지는 동학 초대석 2편. 동학의 3대 교주이자 1919년 3·1혁명의 전과정을 주도한 의암 손병희와 천도교에 대하여.

[백낙청 초대석] 한국근현대사상의 출발이자 뿌리인 동학

백낙청TV에서 마련한 두번째 초대석. 정지창 교수와 김용휘 교수와 함께 우리 시대에 동학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깊고 생생한 논의를 펼친다.

[백낙청 초대석] 민중의 사상적·정서적 갈망을 충족해준 동학 최제우와 원불교 박중빈

『창작과비평』 2021년 가을호에 실린 도올 김용옥 박맹수 백낙청 특별좌담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총 4편의 영상을 2회로 묶어 소개한다.

[백낙청 초대석] 수운 최제우의 평등사상과 동학농민혁명

『창작과비평』 2021년 가을호에 실린 도올 김용옥 박맹수 백낙청 특별좌담 「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총 4편의 영상을 2회로 묶어 소개한다.

[백낙청 공부길] 미국역사에 대한 너새니얼 호손의 고민

백낙청 공부길 29-3편. 쉽지만은 않은 호손의 『주홍글자』, 현대문명과 연결해 어떻게 읽을 수 있을까.

[백낙청 공부길] 청교도사회 비판과 미국 정신사의 탐구

백낙청 교수 29-2편. 본능적인 삶을 억누르고 정신적인 것의 승리만을 고집할 수 있는가. 『주홍글자』에 대한 풍성하고 깊이있는 논의.